1. 사업포트폴리오 이론
- 포트폴리오: 서류가방, 자료 수집철, 하나의 자산에 투자하지 않고 주식/채권/부동산 등 둘 이상의 자산에 분산투자할 경우 그 투자대상이 되는 각종 자산들의 구성을 의미
- 사업 포트폴리오: 기업의 지속 가능한 생존을 위해서 사업의 분야를 상호의존적이지 않은 몇개의 다른 영역으로 나누어 구성하는 것
- 연예인들이 식당이나 주점을 운영하는것 같음
- 한계점: 가정의 비현실성, 사업부 사이의 연관 문제, 외부자원 조달의 제약, 주관의 개입가능성, 평가기준 설정
2. 맥그리거의 x이론과 y이론
- 맥그리거는 인간의 본질과 행동에 관한 경영자의 기본 가정을 x이론과 y이론의 두 유형으로 개념화
- x이론: 전통적이고 전제적인 경영자의 인간관, y이론: 진취적이고 협동적인 인간관
3. 버나드의 조직행위론
- 조직을 2인 이상의 힘과 활동을 의식적으로 조정하는 협동체계라고 정의
- 조직의 균형유지와 조직과 조직 구성원 간의 균형 유지를 위한 협력관계에 따라서 조직의 유효성이 결정
- 권한은 명령에 응하는 하급자의 수용의사에 달려 있다는 권한수용설을 주장하며 권한이 조직의 직능에서 유래함을 설명
4. 집단관리법, 모듈러생산, 컴퓨터통합생산, 셀형제조방식
- 집단관리법(GT): 제품의 생산과정에서 부품의 형상 치수 혹은 가공법이 유사한 것을 그룹화하여 각 그룹에 대하여 부품설계를 일괄적으로 하거나 적합한 기계를 할당시키고 공통의 공구, 기계 작업방법을 이용하여 합리적인 생산을 하는 기법
- 모듈러생산(MT): 여러 가지로 조합시킬 수 있는 표준화된 부품을 제조하여 최소 종류의 부품으로 많은 종류의 제품/장치를 생산하는 방식
- 컴퓨터통합생산(CIM): 생산-판매-기술의 3분야를 통합한 것으로 주문을 받는 단계에서부터 생산품을 시장으로 내보내는 단계까지 공정시스템을 컴퓨터로 종합 처리하여 시간을 단축하고 다품종 소량생산에 대응하는 자동화 생산 시스템
- 셀형 제조방식(CMS): 집단관리법의 개념을 생산공정에 연결시켜 생산의 유연성을 높이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려는 기법으로 한 종류 또는 많은 종류의 기계가 하나의 셀을 단위로 해서 집단화되는 공정의 한 형태
5. 수요예측기법
- 지수평활법: 최근의 자료일수록 더 큰 비중을, 오래된 자료일수록 더 작은 비중을 두어 미래수요를 예측
- 가중이동평균법: 시계열 분석에서 이동평균의 개념을 확장하여 평균을 구하는 데 있어 가장 최근에 주어지는 위치값에 가중값을 부여하여 예측치가 수요변동을 빨리 따라갈 수 있게 함
- 추세요인: 시계열 데이터가 상향 또는 하향방향으로 중장기적으로 변화하고 있는 형태를 의미
- 시계열분석: 시간의 경과에 따른 어떤 변수의 변화경향을 분석하여 그것을 토대로 미래의 상태를 예측하려는 비인과적 기법, 즉 시간을 독립변수로 하여 과거로부터 현재에 이르는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미래를 예측하려는 동태적인 분석방식
6. JIT(Just In Time)
- JIT시스템: 모든 생산과정에서 필요할 때 필요한 것만을 필요한 만큼만 생산함으로 생산시간을 단축하고 재고를 최소화하여 낭비를 없애는 시스템
- 생산성을 위한 짦은 준비시간, 소수의 협력적 공급업자, 낭비적인 요소를 제거하려는 생산관리 시스템으로 재고의 극소화, 팀 중심적인 노동력, 통제중심적이며 시각적 통제를 강조
7. 매트릭스 조직
- 기능별 조직의 전문성과 사업별 조직의 대응성을 입체적으로 결합한 조직
- 기능부서의 전문성과 제품라인의 대응성을 동시에 충족하는 장점, 명령의 이원화로 구성의 역할이 모호해지고 갈등을 초래할 수 있는 단점
8. 동기부여이론
- 맥클리랜드의 성취동기이론: 매슬로우의 5단계 욕구(생존, 안전, 사회, 존경, 자아실현) 중에서 자아실현/사회/존경 3가지만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한 것
- 허즈버그의 2요인이론(동기/위생): 인간에게는 위생요인과 동기요인이라는 두가지 욕구가 있으며 인간이 느끼는 만족과 불만족에 관련하여 각각 다른 차원에서 존재하고 있음을 설명
- 알더퍼의 ERG이론: 매슬로우의 5단계욕구를 발전시킨 것, E는 존재의 욕구(existence)/R은 관계의 욕구(relatedness)/G는 성장의 욕구(growth), 매슬로우의 욕구단계설과의 차이점은 순서가 있는 것이 아닌 여러 욕구가 동시에 발생가능 + 좌절-퇴행의 개념이 추가(상위단계의 욕구의 충족이 좌절되면 하위단계의 욕구를 더 원하게 됨, 직장에서 인간관계로 스트레스를 받으면(R이 좌절) 임금과 근무환경(E)을 더 요구하게 되는 것과 비슷)
9. M&A
- 인수합병
- 기업의 합병: 인수기업이 목표기업을 완전히 결합시켜 법률적으로나 사실적으로 하나의 단일 기업을 만드는 것
- 기업의 인수: 인수기업이 목표기업의 주식이나 자산의 상당부분을 취득하여 그 기업의 경영권을 획득하지만 목표기업도 공존하고 있는 것
10. 목표관리(MBO)
- 목표중심의 참여적 관리기법
- 조직 상하구성원의 광범위한 참여/합의하에 조직목표/부서목표/개인목표를 설정하고 그에 따라 사업이나 생산활동을 수행한 후 활동결과를 평가/환류시키는 관리체제로서 조직의 민주성과 효과성의 제고에 이바지하는 총체적인 관리기법을 의미
- 조직목표설정 -> 개인목표 혹은 부하목표 설정 -> 업무수행 및 환류 + 수시로 중간평가
- 초점은 목표의 성취이며 구체적인 계획에 입각, 상하간의 협의와 참여가 강조, y이론적인 탈전통적 관리모형, 특히 환류가 중요하기에 목표는 고정불변 x (현실적인 집행과 관리과정이 더 중요)
11. 유통정책
- 물적유통: 발생지점에서 소비지점까지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흐르도록 하는 것, 고객 서비스의 목표수준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물류비용을 최소화하는 데 있음
- 채찍효과: 하류의 고객주문 정보가 상류로 전달되면서 정보가 왜곡되고 확대되는 현상
- 피기백 방식: 컨테이너를 적재한 트레일러나 트럭, 선반에 실린 화물을 그대로 철도 화차에 실어 수송하는 복합 수송의 한 방법
12. 리더십
- PM이론: 리더십의 기능을 성과지향기능(P)과 유지지향기능(M)의 2차원적으로 나누어 리더십의 유형을 설명
- 관리격자모델: 블레이크와 머튼에 의해 제시, 리더가 가지고 있는 관심을 생산에 대한 관심과 인간에 대한 관심으로 나누고 이를 관리격자로 계량화하여 리더의 유형을 구분, 완전형 모델(9,9) 모델을 가장 이상적으로 보았고 관리격자 이론의 큰 특징은 최고의 리더십 스타일을 제시
- 하우스와 에반스의 경로/목표 이론: 리더의 역할은 구성원들이 높은 목표를 세우게하고 자신감을 가지고 노력하여 성공적으로 과업을 수행함으로서 원하는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경로를 명확히 해주는 것, 4가지 리더십 유형(지시적, 후원적, 참여적, 성취지향적) 제시
13. 인사고과
- 종업원의 능력과 업적을 평가하여 그의 현재적 또는 잠재적 유용성을 조직적으로 파악하는 방법
14. 전통적 고과기법
- 서열법: 피고과자의 능력과 업적에 대해 순위를 매기는 방법
- 평가척도법: 종업원의 자질을 직무 수행상 달성한 정도에 따라 사전에 마련된 척도로 평가하는 기법
- 대조법: 설정된 평가 세부알람표에 따라 체크하는 방법
- 강제할당법: 사전에 정해 놓은 비율에 따라 피고과자를 강제로 할당하여 고과하는 방법
- 업무보고법: 피고과자가 작업 업적을 구체적으로 적어서 평가를 받는 방법
15. 현대적 고과기법
- 중요사실서술법: 피고과자의 중요한 성공적인 업적과 실패업적을 기록/검토하여 피고과자의 직무태도와 업무수행능력을 개선하도록 유도
- 면접법: 면접을 통하여 피고과자의 업무수행능력을 개선하도록 유도
- 목표에 의한 관리법: 부하와 상사와 함께 협의하여 작업목표량을 결정하고 함께 평가하는 기법
- 평가센터법: 평가를 전문으로 하는 평가센터를 조직하여 자료를 수집하게 하고 이 자료를 토대로 평가하는 방법
- 행동기준 고과법: 구성원이 실제로 수행하는 구체적인 행위에 근거하여 행동과학적 입장에서 평가하여 신뢰도와 평가의 타당성을 높인 고과방법
- 인적자원회계: 인적자원을 기업의 자산으로 파악하여 평가하는 방법으로 인적자원을 재무상태표와 포괄손익계산서에 나타내는 과정에서 고과하는 방법
16. 인사고과의 오류
- 현혹효과: 한 분야에 있어서의 피평가자에 대한 호의적 또는 비호의적인 인상이 다른 분야에 있어서의 그 피평가자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
- 상동적 태도: 속한 집단의 특성에 근거하여 다른 사람을 판단하는 경향
- 관대화 경향: 피고과자의 실제 능력이나 실적보다 더 높게 평가하는 경향
- 중심화 오류: 평가자가 좋고 나쁨과 같은 양 극단적 평가를 꺼리는 경향
- 범위의 제한 오류: 평가자가 관대하거나 엄격하거나 중심화 경향을 보이는 등 한가지 범위에서 평가하는 경향
- 시간적 오류: 피고과자를 평가할 때 쉽게 기억할 수 있는 최근의 실적이나 능력을 중심으로 평가하는 경향
- 대비오류: 고과자가 자신이 지닌 특성과 비교하여 자신과 대비되는 정반대의 경향을 갖고 있다고 짐작하여 피고과자를 평가하는 경향
- 논리적 오류: 서로 상관관계가 있는 요소 간에 어느 한 쪽이 우수하다면 다른 요소도 당연히 그럴 것이라고 판단하는 경향
- 유사효과: 고과자의 성향과 유사할 경우 후한 평가를 하는 경향
- 항상오차: 피고과자를 평가하는 과정에서 고과자의 평가오류가 심리학적 구성개념과 상관되어 있을 경우
- 우면오차: 상기한 항상오차와 상관없는 경우
- 귀인상의 오류: 누군가 고의적으로 실수를 범했다면 감정적으로 더 나쁘게 평가하고 그것이 고의가 아니었다면 덜 비판적이거나 온정적으로 판단하려는 경향
- 규칙적 오류: 특정 고과자가 다른 고과자들보다 언제나 후하거나 박한 점수를 줌으로써 나타나는 오류
- 주관의 객관화: 평가자가 자신의 특성을 타인에게 전가하려는 경향
17. 균형성과표(BSC)
- 카플란과 노턴이 제시
- 재무/고객/내부 프로세스/학습과 성장 (4개 분야)
- 단기적 목표와 장기적 목표 간의 균형을 강조
- 재무적 시각뿐만 아니라 비재무적 시각에서 기업의 성과를 보다 균형있게 파악가능
18. 애프터 마케팅
- 고객이 구입한 제품에 대해 가치를 느끼고 기업과의 관계를 지속적으로 유지함으로써 충성 고객으로 이끌어내는 마케팅
19. 피쉬바인의 다속성태도모형
- 대상은 여러 속성을 가지고 있다고 가정하며 대상에 대한 태도는 외부정보/경험/추론을 바탕으로 형성된 대상의 여러 부각 속성에 대한 신념과 각 속성에 대한 소비자의 평가에 의해 결정
- 각 대안별 평가를 하고 그 평가결과가 가장 큰 대안을 선택하는 모형
- 소비자의 신념이 대상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줌
20. 규모의 경제
- 기업의 생산 규모가 증가할 때 생산량의 증가가 노동/자본 등 생산요소의 증가보다 더 크게 증가하는 경우
- 소요되는 비용은 점점 줄어들고 이익은 늘어나는 경우
21. 상표전략
- 라인 확장: 기존의 제품범주에 속하는 신제품에 기존 브랜드명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
- 브랜드: 소비자들로부터 하여금 제품 구매 시 사고비용을 감소
22. 고객관계관리(CRM)
- 고객에 대한 매우 구체적인 정보를 바탕으로 개개인에게 적합하고 차별적인 제품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 고객과의 개인적인 관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단골고객과 1:1 커뮤니케이션이 가능
- Cross Selling: 기업의 제품과 서비스 중 하나를 구매한 고객에게 그 기업이 제공하는 다른 제품이나 서비스를 추가적으로 판매하는 전략
- Up Selling: 특정한 상품 범주 내에서 고객의 상품 구매액을 늘리기 위해 고객으로 하여금 보다 업그레이드된 상품을 구매하도록 유도하는 판매활동
23. 마이클 포터의 산업구조분석기법
- 측정기업의 과업환경에서 중요한 요인을 이해하고자 하는 기법
- 차별화된 산업일 수록 수익률이 높고 차별화가 적은 산업일수록 수익률이 낮음
- 산업의 경쟁을 형성하는 5가지 요인: 신규 진입자의 위협, 기존 경쟁자들 간 경쟁, 구매자의 협상력, 공급자의 협상력, 대체품 제품이나 서비스의 위협
- 전환비용(한 제품에서 경쟁사의 다른 제품으로 전환하는 데 드는 비용)이 높을 산업일수록 그 산업의 매력도는 증가
24. 제품수명주기
- 도입기 -> 성장기 -> 성숙기 -> 쇠퇴기
25. 선발진입제
- 경쟁사보다 시장에 먼저 진입하는 전략
- 후발주자는 선발주자가 이미 닦아놓은 시장에 숟가락을 하나 더 올리는 것과 같은 것
- 후발주자의 시장진입에 따라 손실을 볼 수 있다는 위험 존재
26. 시스템이론
- 시스템은 서로 독립적으로 있는 것이 아니라 여러 독립된 구성인자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상호작용하며 환경에의 적응성을 높이는 작용을 하므로 하위시스템들은 서로 독립적이지 않고 상호 관련되어 있으며 개방시스템의 속성을 가지고 있음
27. 조직구조
- 우드워드: 기업이 사용하는 기술복잡성에 따라 조직을 나눔
1) 단위소량생산체계
2) 대량생산체계
3) 연속적생산체계
- 톰슨: 조직구조에 영향을 주는 상호의존성과 그에 따른 중개적/연계형/집약적 기술을 제시
1) 중개적 기술
2) 연계형 기술
3) 집약적 기술
- 페로우: 부서수준의 기술이 조직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
1) 장인 기술
2) 일상적 기술
3) 비일상적 기술
4) 공학적 기술
- 번스/스토커: 환경적 변화의 정도와 관련하여 각각 다른 조직관리쳬제가 존재, 조직과 관련된 환경에 의하여 야기된 많은 변화조건들이 조직에 깊은 영향
1) 기계적 방식
2) 유기적 방식
- 로렌스/로시: 내적 조직변수들은 외적 조직변수들과 복잡한 관계를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내적 조직변수들 상호 간에도 서로 복잡한 관계에 있음
1) 플라스틱 회사
2) 컨테이너 회사
3) 식품산업 회사
- 애머리/트리스트: 조직이 직면할 수 있는 4가지의 환경 모델을 제시하여 환경에 대처하는 상당히 구체적인 여건을 제시
1) 안정적/임의적 환경
2) 안정적/집합적 환경
3) 혼란적/반응적 환경
4) 격동적 환경
28. 민츠버그의 5가지 조직구조
1) 단순구조
2) 기계적 관료구조
3) 전문적 관료구조
4) 사업부제 구조
5) 임시특별구조
29. 수직적 통합
- 기업들은 원자재나 부품을 공급받아 제품을 생산하고 도매상/소매상을 통해 소비자에게 공급, 그런데 기업이 경쟁력/통제력 강화 등을 목적으로 외부의 공급업체나 유통업체 등을 흡수하는 전략을 수직적 통합이라고 부름
1) 전방통합: 유통업체 분야의 기업을 통합
2) 후방통합: 공급업체 분야의 기업을 통합
- 장점: 생산비용 절감, 시장비용 절감, 품질통제
- 단점: 비효율적인 생산비용 발생 가능성, 경쟁 위험요소 증가, 계열사슬의 진부화
30. 경영혁신기법
- BPR(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 업무재설계, 기업의 활동이나 업무의 전반적인 흐름을 분석하고 경영 목표에 맞도록 조직과 사업을 최적으로 다시 설계하여 구상하는 것
- TQM(Total Quality Management): 전사적 품질 경영, 기업 활동의 전반적인 부분의 품질을 높여 고객만족을 달성하기 위한 경영 방식
-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전사적 자원 관리, 회사의 모든 정보 뿐만 아니라 공급 사슬 관리, 고객의 주문정보까지 포함하여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
- ABC(Activity Based Costing): 활동기준 원가 계산, 제조간접비를 소비하는 활동이라는 개념을 설정하고 이러한 여러 활동들에 따라 제조간접비를 배부하고 각 제품별로 활동소비량에 따라 제고간접비를 배부함으로써 기존의 전통적인 원가계산방식에 비해 좀 더 합리적인 원가배부를 목적으로 하는 원가계산방식
31. 디마케팅
- Decrease + Marketing
- 기업들이 의도적으로 고객의 상품 구매를 줄임으로 수익의 극대화를 노리는 마케팅 전략
32. 행동적 세분화
- 추구편익, 사용상황, 사용량, 상표애호도, 태도 등으로 나눔
33. 서비스
- 무형성이 강조
- 생산과 소비가 동시에
- 저장 불가능
- 생산자와 고객 간의 상호작용이 생산공정에 반영
34. 마케팅 관련 효과(현상)
- 후광효과: 한 대상의 두드러진 특성이 그 대상의 다른 세부 특성을 평가한느 데에도 영향을 미치는 현상, 광고에서 매력적인 모델을 기용 등
- 최근효과: 가장 나중에 제시된 정보가 가장 잘 기억에 남는 현상
- 백로효과: 스노브(속물)효과, 특정 상품에 많은 사람이 몰려 희소성이 떨어질 때 차별화를 위해 다른 상품을 구매하려는 현상
- 초기효과: 일반적으로 처음 추어진 정보로 판단하는 지각 오류의 경향
35. 피터드러커가 제시한 경영시각
- 경영 목표 및 관리자의 역할로 조직구성원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의사소통을 하는 것, 인재에게 동기부여를 하고 개발하는 것을 주장
- 성과는 외부에 의해 존재가치가 있게 됨
36. 연속생산공정
- 생산물의 흐름이 연속되는 연속생산은 정해진 생산 공정을 일정한 생산속도로 소품종의 제품을 대량생산하므로 생산 공정의 높은 신뢰성을 요구
- 특징
1) 제품별 배치
2) 고도의 표준화
3) 소품종 대량생산
4) 짧은 거리와 낮은 운반비
5) 고정비는 높고 변동비는 낮음
6) 생산원가는 낮음, 효율성은 높음
7) 유연성은 매우 떨어짐
8) 단순작업이 많은 반복적 비숙련공
37. 재고관리
- EOQ(economic order quantity): 경제적 주문량, 재고유지비용을 줄이려면 재고량을 줄여야 하고 주문이나 가동준비 횟수를 줄이려면 재고를 늘려야 함, 이러한 교환관계에 균형을 맞추고 최선의 재고수준을 결정하는 것이 경제적 주문량, 재고유지비용과 주문비용의 합을 최소화하는 것, 가장 합리적인 주문량을 결정하는 방법
- EPQ(economic production quantity): 경제적 생산량, 기업이 공급자로부터 주문량을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재고나 수요에 대한 제조량을 결정하는데 사용됨, EPQ값은 주문량 결정을 위해서가 아니라 로트생산량을 위해서 결정되기 때문에 이 모형에 필요한 모든 정보는 기본적으로 EOQ모형과 다름, EPQ모형의 목표는 생산품목에 대한 생산조업비용을 최소화하는 로트사이즈를 정하는 것
- EOQ와 EPQ 모두 재고관련 비용의 최소화를 목적으로 하는 고정주문모형
- ABC재고관리법: 재고를 금전적 가치에 따라 구분하고 차별적으로 괸리, A등급(80%)/B등급(15%)/C등급(5%)으로 분류
- MRP기법: 자재소요계획, 최종제품이 필요한 시점으로부터 해당 제품의 제조 또는 조립에 필요한 하위 부품들이 필요한 시점을 역으로 계산해내는 방법, 독립수요품의 재고 확정되어 있을 때 종속수요품의 재고관리 및 통제를 위한 기법
38. 순현가법(NPV, net present value)
- 순현재가치법
- 다양한 프로젝트 및 신사업을 대상으로 하나를 선정해야 하는 순간이 올 때 의사 결정권자들이 가장 효율적인 투자를 집행하고자 할 때 참고하는 평가요소
- 미래 예상 수익을 현재 화폐가치로 환산해서 투자 대비 수익을 확인하는 방법
39. 내부수익률법(IRR, internal rate of return)
- 어떤 사업에 대해 사업기간 동안의 현금수익 흐름을 현재가치로 환산하여 합한 값이 투자지출과 같아지도록 할인하는 이자율을 투자에 관한 의사결정에서 고려하는 것
- 내부수익률: 예를 들어 1000만원으로 금융상품에 투자했을 때 1년 뒤 1050만원을 수령했다고 한다면 해당 투자상품의 수익률은 5% = 내부수익률이 5%
40. 재투자율
- 기업의 순이익 가운데 다시 투자 자금으로 이용되는 비율
- 순현가법에서는 모든 예상되는 미래현금수지가 요구수익률로 재투자된다는 가정을 하고 있지만 내부수익률법에서는 내부수익률로 재투자된다는 가정, 순현가법은 할인율을 요구수익률에 의거해서 구하는 반면 내부수익률법은 시장 상황과 관계없이 같은 곳에 재투자하는 것을 가정하므로 자본의 기회비용을 고려하고 있지 못하다는 측면에서 덜 합리적
- 일반적으로 순현가법이 내부수익률법보다 투자판단의 준거로 선호
41. 현금수지
- 현금이 들어오고 나가는 흐름
42. 수익률
1) 기대 수익률: 투자자로부터 기대되는 예상수입과 예상지출로부터 계산되는 수익률
2) 요구 수익률: 투자에 대한 위험이 주어졌을 때 투자자가 대상에 자금을 투자하기 위해 충족되어야할 최소한의 수익률, 요구수익률이 충족되지 않는 한 투자 x
3) 실현 수익률: 실제 수익률, 투자가 이루어지고 난 후에 현실적으로 달성된 수익률
43. 현금흐름할인모형
- DCF(dividend cash flow model), 기업이 영업활동을 통해 창출하는 순현금흐름을 이용하여 기업의 가치와 주주지분가치를 평가하는 모형
44. 가치의 가산원칙
- 여러 투자안을 복합적으로 평가한 값이 각각의 투자안을 따로 평가한 값의 합과 같다는 원리
- 순현가법은 가치가산의 원리가 적용되나 내부수익률법은 적용 x
45. 자본자산가격결정모형(CAPM, capital asset pricing model)
- 자본시장의 균형 하에서 위험이 존재하는 자산의 균형수익률을 도출해내는 모형
- 자본자산 = 주식/증권, 가격결정 = 기대수익률의 결정
46. 할인율, 수익률
- 모두 이자율을 뜻하는 단어
- 금리의 다른 이름
- 돈을 시간의 흐름에서 볼 때 현재가치에서 미래가치 쪽을 보고 계산하면 수익률, 미래가치 쪽에서 현재가치 쪽을 보고 계산하면 할인율
47. 주식가치평가
https://jaetechlab.com/%EC%A3%BC%EC%8B%9D-%EA%B0%80%EC%B9%98/
주식 가치 평가를 위해 반드시 알아야 할 3가지 - 재테크 공부하는 남자
주식 가치 평가를 위한 대표적인 3가지 지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PER, PBR, ROE가 무엇인지 그림 한장으로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실제 예시를 통해 간편하게 계산할 수 있는 방법을
jaetechlab.com
1) PER(price earning ratio)
- 주가수익비율
- 시가총액 / 당기순이익
2) PBR(price book-value ratio)
- 주가순자산비율
- 시가총액 / 기업순자산
3) ROE(return on equity)
- 자기자본이익률
- 당기순이익 / 기업순자산
48. 주식투자에 대한 요구수익률
- 다른 자산 대신 주식에 투자하기로 결정하는데 요구되는 최소한의 수익률
- 주식투자에 대한 요구수익률이 하락할 때 현재 가치가 상승하고 주식투자에 대한 요구수익률이 상승할 때 하락
49. 당기순이익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kbhabc4&logNo=220919014292
당기순이익이란? 무엇인가
당기순이익이란? 무엇인가 안녕하세요 오늘은 당기순이익이란? 무엇인가 알아보겠습니다. 당기순이익이란? ...
blog.naver.com
- 총수익에서 총비용을 차감한 최종 이익
- 최종적으로 주주들의 몫으로 창출한 항목
- 당기순이익이 높은 회사는 낮은 회사보다 주가가 높음
50. 주식의 가격결정
1) 배당평가모형
2) 이익평가모형
3) 주식평가모형과 할인율
4) PER 평가모형
5) PBR 평가모형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0223hhs&logNo=90086687263
주식의 가격결정-① 배당평가모형
주식의 가격결정 주식의 가치를 찾아내기 위한 방법에는 배당평가모형, 이익평가모형, 주식평가모형과 할인...
blog.naver.com
- 배당평가모형에서는 주식의 내재가치를 미래 현금흐름의 현재가치로 정의
- 배당평가모형은 주식의 가격결정시 배당금만을 고려, 배당금만으로 주식의 가격을 쉽게 구할 수 있다는 장점
- 주식의 내재적 가치는 영속적인 배당수입에 대한 현재가치
- 즉 배당평가모형은 주식의 내재가치를 배당의 현재가치로 인식
51. 선물거래
http://www.bnkfn.co.kr/workshop/futuresIntro.jsp
선물거래란? | BNK투자증권
www.bnkfn.co.kr
- 규격, 품질, 수량 등이 표준화되어 있는 특정 대상물을 계약체결 시 정한 가격(선물가격)으로
미래 일정시점에 인도 및 인수할 것을 약속하는 거래
- 기능
1) 위험관리수단의 기능
2) 가격예시기능
3) 새로운 투자기회 제공
- 거래상대방의 신용위험을 고려할 필요가 줄어듬
- 선물시장은 현물시장의 유동성을 증가
52. 부채를 많이 사용한 기업
- 과도한 배당이나 재산도피가 발생할 가능성 증가
- 과도하게 위험한 투자안을 선택할 가능성 증가
53. NPV
https://m.blog.naver.com/from7o/221605898198
순현재가치(NPV)란 무엇인가? - 순현가법 계산방법
순현재가치 [純現在價値, net present value] 순현재가치란 줄여서 '순현가' 또는 NPV라고도 ...
blog.naver.com
- net present value
- 순현재가치
- 편익의 현재가치에서 비용의 현재가치를 뺀값
- NPV가 0보다 크면 타당성이 있는 사업으로 판단
54. 편익
https://eiec.kdi.re.kr/material/ecoQueView.do?idx=28497&pp=20&pg=
갖가지 용어의 정리 | 학습자료 | KDI 경제정보센터
안녕하세요! 취미로 경제를 공부하는 학생입니다. 이제 막 공부를 시작한지라 용어도 생소한 부분이 많은데요, 특히 '편익'과'기회비용'의 개념이 다소 헷갈립니다 (T_T)제가 사용하는 교재에서
eiec.kdi.re.kr
55. 자본비용
https://jeongchii.tistory.com/entry/%EC%9E%90%EB%B3%B8%EB%B9%84%EC%9A%A9
[최대한 쉽게 설명하는] 자본비용 - 자기자본, 타인자본 (feat. 조삼모사)
[최대한 쉽게 설명하는] 자본비용 - 자기자본, 타인자본 (feat. 조삼모사) 이 글의 순서 자본비용이란 무엇인가 자기자본 비용과 타인자본 비용 자본비용의 계산 자본비용(Cost of capital, 資本費用)
jeongchii.tistory.com
- 자본이 부족한 회사가 자본을 끌어다 쓰면서 제공해야하는 비용, 돈을 구하는데 들어가는 돈 (은행이자, 주식배당금 등)
- 은행은 대표적인 타인자본과 관련, 주주는 대표적인 자기자본과 관련
56. 재무제표
https://namu.wiki/w/%EC%9E%AC%EB%AC%B4%EC%A0%9C%ED%91%9C
- 회사의 재산과 빛 = 재무상태표, 올해 얼마나 이익/손해? = 포괄손익계산서
-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의 흐름 = 현금흐름표, 주주들의 지분 구성내역 = 자본변동표
- 그 외 나머지 = 주석
1) 재무상태표
2) 포괄손익계산서
3) 현금흐름표
4) 자본변동표
5) 주석
57. 재고자산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johnkeri&logNo=220932275240
재고자산이란 무엇인가?
재고자산(在庫資産) 1.의 의 '재고자산'은 정상적인 영업과정에서 판매를 위하여 보유하거나 생산...
blog.naver.com
- 재고자산은 취득원가와 순실현가능가치 중 작은 금액으로 측정
58. 이연자산
https://ko.wikipedia.org/wiki/%EC%9D%B4%EC%97%B0%EC%9E%90%EC%82%B0
이연자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ko.wikipedia.org
- 수익의 이연: 선수수익의 계상, 당기에 수익으로 이미 받은 금액 중 차기에 속할 부분에 대해서는 그 수익계정에서 차감하고 일시적인 부채를 표시하는 계정으로 대체하여 차기로 이월하는 것, 이때의 부채를 선수수익이라고 하며 선수임대료/선수이자 등이 대표적
59. 화폐의 시간가치
- 유동성 선호현상
- 어떠한 화폐단위가 시간적 요인에 따라 다른 가치를 가지게 된다는 개념
- 동일한 금액의 돈이라도 미래의 금액보다 현재가 더 큰 가치를 갖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는 것
- 화폐의 시간가치가 존재하는 이유
1) 시차선호: 동일한 양의 소비를 가정할 때 미래의 소비보다는 현재의 소비를 더 선호
2) 투자기회: 현재의 현금 1원은 생산활동에 투자하여 미래에 추가적인 수익을 얻을 수 있음
3) 인플레이션: 물가상승으로 인한 화폐의 실질적인 구매력이 감소할 가능성이 존재
4) 미래의 불확실성: 미래 현금은 전액 또는 일부를 못받을 가능성이 존재
60. EVA
- economic value added
- 경제적부가가치
- 기업이 영업활동을 통해 한 회계기간 동안 얼마나 많은 부가가치를 창출했는지 따져보는 것
- 법인세를 차감한 영업이익에서 기업활동에 사용된 총자본에 대한 자본비용을 모두 차감한 금액
- 기존 손익계산서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만든 개념
- 기업입장에서 타인자본과 자기자본비용을 대등하게 파악하고자 하는 경영성과의 지표
- 주주의 입장에서 기업이 주주의 위험부담에 대하여 보상을 고려함
61. CAPM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a4calyps&logNo=150176949847
CAPM의 검증과 활용
CAPM 이란? - 포트폴리오 이론을 통해서 우리는 투자자가 자신의 효용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어떻게 포...
blog.naver.com
- 기대수익률과 위험 사이의 관계식
62. 증권특성선
- 개별주식의 수익률과 시장 포트폴리오 수익률 간의 관계를 회귀분석에 따라 선형 관계식으로 나타낸 선
- 증권특성선의 기울기는 체계적 위험을 나타내는 지표
- 총위험에서 체계적 위험이 차지하는 비중이 커질수록 증권특성선의 설명능력이 커짐
- 총위험 중 체계적 위험이 차지하는 비율을 결정계수라 하며 결정계수는 0과 1 사이의 값을 가짐
63. 시장 포트폴리오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07/08/16/2007081601302.html
[쉽게배우는 경제 팁] 시장 포트폴리오란?
쉽게배우는 경제 팁 시장 포트폴리오란
biz.chosun.com
- 주식시장에 상장된 모든 주식을 사되 각각의 주식을 얼마만큼 살지는 전체 주식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에 따라 결정하는 자산 배분 방식
64. 상환사채
- 회사가 주식이나 그밖의 다른 유가증권으로 상환할 수 있는 사채
65. 상각
- 사라진다는 개념으로 이해하면 편리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sua96&logNo=220786078079
감가상각, 대손상각... 도대체 상각이란 무엇인가?
회계를 접하면서 제일 이해가 가지 않고 복잡한 것이 감가상각, 대손상각이었습니다. 회계를 전공한 사람은...
blog.naver.com
66. 환입
https://c144866.tistory.com/57
환입 알아봅시다
환입 알아봅시다 환입은 다시 받아들인다는 뜻입니다. 이는 사회에서 많이 쓰이고 있지만 정작 정확한 용어의 뜻은 모르는 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이런 환입은 우리 생활에서 의외로 많이 발생
c144866.tistory.com
67. 사채
- 발행자가 약정에 따라 일정기간 동안 표시이자를 지급하고 만기일에는 원금을 상환하기로 한 채무증권
https://wfcareer.tistory.com/69
[재경관리사 - 재무회계] Ch.10 금융부채 2
1. 금융부채 회계처리 1) 사채 (1) 사채의 의의 사채는 발행자가 약정에 따라 일정기간 동안 표시이자를 지급하고 만기일에는 원금을 상환하기로 한 채무증권이다. 사채로 계상되는 금액은 1년 후
wfcareer.tistory.com
68. 유효이자율법
- 미래에 지급하거나 받을 현금의 현재가치와 일치시키는 이율 (10년 후 10억을 받기로 하며 돈을 꿔준다면 인플레이션을 고려하여 지금 얼마를 꿔줘야 하는가?, 일반적으로 시장이자율을 의미하지만 투자 등의 경우와 같이 높은 이익을 얻기 위해 시장이자율보다 높은 이자율을 사용하기도 함)
- 시장이자율(사채이자율, 유효이자율, 실질이자율) = 증권시장에서 사채발행 시 적용한 이자율
69. 액면발행, 할인발행, 할증발행
1) 액면발행: 시장이자율과 액면이자율이 동일하여 액면금액을 기준으로 발행
2) 할인발행: 액면금액을 초과하여 발행하는 것으로 시장이자율이 액면이자율보다 높은 경우
3) 할증발행: 액면금액보다 낮게 발행하는 것으로 시장이자율이 액면이자율보다 낮은 경우
'공공기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체 행정 조직도 링크 (0) | 2021.08.31 |
---|---|
공공기관 210730 (0) | 2021.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