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4학년 2학기

사회학특별세미나

- 5주 -

빈곤의 정의

1. well-being(안녕)의 확연한 결핍 (세계은행, 2000)

- 무엇이 안녕을 구성하는가?

2. 정의하기 어려운 빈곤의 개념

- 무엇이 빈곤인지, 인간다운 생활, 최저생활이 무엇인지 정의하기 어려움

- 빈곤의 개념은 = 학문적 문제 + 정치적 문제 (빈곤의 원인과 결과에 대한 가치판단 필요)

3. 빈곤의 다차원성

- 절대적 빈곤, 상대적 빈곤, 능력박탈, 사회적 배제

 

절대적 빈곤

- 최저생활과 기본욕구의 충족 여부

- 빈곤선 (유럽은 중위소득 가구 60% 이하, 한국은 중위소득 50% 미만)

 

사회적배경: 사회문제로서 빈곤의 등장

- 19세기 후반 보통선거권, 노동운동, 사회주의운동이 활발해지면서 노동계급이 직면한 비참한 현실에 대한 항의의 목소리가 등장

- 1차 세계대전 이후 정부가 빈곤을 완화해야 할 책임이 있다는데 대한 광범위한 동의가 이루어짐

 

절대적 빈곤 개념의 의미

- 빈곤은 자연적 결과가 아닌 사회적 차원으로 정의, 개인 문제가 아닌 집단적 노력으로 해결할 수 있는 객관적 사회문제로 변화

- 탈빈곤을 권리의 차원으로 인식, 시민권으로서 빈곤하지 않을 권리의 등장

 

절대적 빈곤 개념의 문제점

- 상대적 박탈감, 빈곤선 아래에 있는 것은 아니지만 다른 사람들이 누리는 문화적 혜택을 이용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느끼는 빈곤감

 

상대적 빈곤

- 자본주의 황금기의 그림자 (1950~60)

- 여전히 최저생활 이하의 삶을 영위하는 보이지 않는 빈곤층이 광범위하게 존재

 

상대적 개념으로서의 빈곤

- 절대적 빈곤 개념은 절대적이지 않다

- 빈곤의 기준이 되는 요소인 최저생활과 기본적욕구가 객관적이고 타당한지를 비판

- 박탈이라는 측면에서 빈곤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분명히 하는데 집중

 

빈곤의 사회성, townsend

- 빈곤의 기준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며 건강한 최저생활의 달성에 필요한 재화의 종류와 양은 성별, 연령, 거주지역, 시대 등에 따라서 달라진다

 

박탈지수

- 그들이 속한 사회에서 관습적이거나 용인되는 유형의 식사를 하고, 사회활동에 참여하며, 절절한 생활환경과 편의시설을 이용할 자원이 결여된 개인/가족/집단을 의미

- 그들은 일상적인 생활양식, 생활습관, 사회활동으로부터 배제

 

능력박탈, 아마르티아 센

- 기존 빈곤 개념 비판, 소득보다도 개인이 보유한 자원을 실제 능력으로 변환할 수 있는 사회적 환경의 중요성 강조

- entitlement는 한 사회에서 정당한 방법으로 어떤 재화의 묶음을 손에 넣거나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능력과 자격, 빈곤은 entitlement를 키울 수 있는 기회를 박탈당한 상태와 관련된 것으로 자연적 재해가 아니라 사회적 재앙이며 공동체/사회구성원으로서 민주적 권리를 갖지 못한 결과

 

사회적 배제

- social exclusion, 사회의 대다수 구성원이 당연하게 여기는 수준의 참여를 향유할 수 없는 상태

- 1990년대 이후 신자유주의 시장경제에서 고용의 질 저하, 청년 실업의 약화, 이민의 증가, 가족구조의 변화, 저출생/고령화 현상의 심화 등 새로운 사회적 위험의 확산과 관련

- 신빈곤 = 근로빈곤, 일하는데도 빈곤을 벗어날 수 없는 빈곤

 

------------------

 

- 6주 -

빈곤실태

- 절대적 빈곤의 감소와 상대적 빈곤 증가

- 빈곤선 미만의 절대빈곤가구 비율은 1980년대 이후 급속 감소

 

경제위기와 실업

- 실업통계와 체감 실업률 간의 격차

- 청년실업문제

- 비정규직 노동자의 증가와 빈부격차의 심화

 

공간과 불평등

- 공간사회학의 주요 초점

1) 공간의 생산

2) 공간의 재편

3) 공간의 체험

 

공간불평등 관련 질문

1. 공간의 사회문화적 차원들은 어떠한 공간불평등을 형성하는가?

2. 공간의 상징적 차원들은 공간불평등을 어떻게 정당화 혹은 재구성하는가?

3. 공간불평등에 대한 장소/공간 행위자들의 경험과 인식은 무엇인가?

 

젠트리피케이션

- 둥지내몰림

- 고소득층이 저소득 노동자가 거주하는 도시 지역으로 이주하면서 도시 환경의 재활성화되고 이에 따른 노동자계층의 비자발적 이주를 설명하기 위해 도입된 개념

- 도시환경의 변화로 인해 중상류층이 도심의 낙후된 지역으로 유입하면서 지가, 임대료 등을 상승시켜 비싼 지가와 임대료를 감당하지 못하는 원주민들이 다른 곳으로 이동하는 현상

- 젠트리피케이션은 초기 유럽과 북미 대도시에서 나타난 현상이며 현재는 우리나라, 남미, 아시아 등 세계 다양한 도시 및 지역에서 나타나는 중

 

젠트리피케이션의 발생 과정 및 영향

1) 임대료가 저렴한 지역

2) 문화예술가, 소상공인의 유입

3) 지역의 장소성 및 유동인구증가

4) 임대료 저렴한 지역 상승

5) 문화예술가, 소상공인이 유출

6) 지역 정체성 상실

 

영향

효용성의 시각

1) 젠트리피케이션의 상업적/발전적 가치 강조

- 전통근린에 전문직의 중상류층이 유입되어 부동산 가치가 상승하는 과정

2) 신중간 계층 형성과 도시개발

- 통근거리가 짧고 문화/소비생활이 용이한 도시 내부지역 선호 현상과 연관

- 보다 살기 좋은 새로운 중간계급 동네로 변환되는 과정

 

신자유주의 도시 비판

- 계층 대체 및 공간 불평등 심화 현상 비판

1) 비자발적 이주 = 기존 거주민/사회계층의 전치와 공동체 파괴

2) 정치경제학적 비판

- 젠트리피케이션 저항 담론

1) 탈신자유주의 도시화로의 전환 가능성 탐색

 

장소형성과정으로서 젠트리피케이션

1) 과정으로서 젠트리피케이션

- 아상블라주(이질적인 것의 앙상블) 시각은 역사적/지리적 우연성 속에 다수의 제도/기관/조직/실천의 부분들과 조각들이 상호 연관되고 이동하고 변형되면서 특정한 형태의 도시성이 생산되는 과정에 주목한다는 것

2) 행위자들 사이의 복합적 상호작용으로서 젠트리피케이션

- 장소형성 과정의 복합성, 젠트리피케이션의 행위자(젠트리파이어) 간의 상호작용에 초점

'4학년 2학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림으로배우는컴퓨터구조  (0) 2021.10.03
미디어플랫폼비즈니스  (0) 2021.10.01
정치와사회  (0) 2021.09.30
미디어벤처기획론  (0) 2021.09.29
머신러닝  (0) 2021.09.27